Java(36)
-
[백준 JAVA] 17142 : 연구소 3
[백준 17142] 연구소 3 : https://www.acmicpc.net/problem/17142문제 조건 정리 바이러스는 활성 상태와 비활성 상태가 있다. 가장 처음에 모든 바이러스는 비활성 상태이고, 활성 상태인 바이러스는 상하좌우로 인접한 모든 빈칸으로 동시에 복제되며, 1초가 걸린다. 승원이는 연구소의 바이러스 M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려고 한다.연구소는 크기가 N×N인 정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정사각형은 1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연구소는 빈칸, 벽, 바이러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은 칸 하나를 가득 차지한다. 활성 바이러스가 비활성 바이러스가 있는 칸으로 가면 비활성 바이러스가 활성으로 변한다. -> 비활성 바이러스는 빈칸으로 취급0은 빈칸, 1은 벽, 2는 바이러..
2024.07.10 -
[백준 JAVA] 12100 : 2048 (Easy)
[백준 12100] 2048 (Easy) : https://www.acmicpc.net/problem/12100문제 조건 정리 같은 값을 갖는 두 블록이 충돌하면 두 블록은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한 번의 이동에서 이미 합쳐진 블록은 또 다른 블록과 다시 합쳐질 수 없다. 실제 게임에서는 이동을 한 번 할 때마다 블록이 추가되지만, 이 문제에서 블록이 추가되는 경우는 없다.똑같은 수가 세 개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하려고 하는 쪽의 칸이 먼저 합쳐진다. 입력 및 출력 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 (1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게임판의 초기 상태가 주어진다. 0은 빈 칸을 나타내며, 이외의 값은 모두 블록을 나타낸다. 블록에 쓰여 있는 수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024보다 작거..
2024.07.08 -
[백준 JAVA] 1644 : 소수의 연속합
[백준 1644] 소수의 연속합 : https://www.acmicpc.net/problem/1644문제 조건 정리 하나 이상의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연수들이 있다. 몇 가지 자연수의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3 : 3 (한 가지)41 : 2+3+5+7+11+13 = 11+13+17 = 41 (세 가지)53 : 5+7+11+13+17 = 53 (두 가지)하지만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자연수들도 있는데, 20이 그 예이다. 7+13을 계산하면 20이 되기는 하나 7과 13이 연속이 아니기에 적합한 표현이 아니다. 또한 한 소수는 반드시 한 번만 덧셈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3+5+5+7과 같은 표현도 적합하지 않다.자연수가 주어졌을 때, 이 자연수를 연속된 소수의 합..
2024.07.07 -
[백준 JAVA] 1300 : K번째 수
[백준 1300] K번째 수 : https://www.acmicpc.net/problem/1300문제 조건 정리 크기가 N×N인 배열 A A[i][j] = i×j 이 수를 일차원 배열 B에 넣으면 B의 크기는 N×NB를 오름차순 정렬했을 때, B[k]를 구해보자.배열 A와 B의 인덱스는 1부터 시작입력 첫째 줄에 배열의 크기 N이 주어진다. N은 10^5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 k가 주어진다. k는 min(10^9, N^2)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문제를 풀기 전 배열을 만드는 게 아니라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할 것이라고 생각함.k번째 수는 k를 넘어설 수 없는 것을 확인k번째 수는 1~k 중 하나 -> 이분탐색이분탐색의 mid를 기준으로 A배열을 검사A배열에서 mid이하인 수의 개..
2024.07.05 -
[백준 JAVA] 2042 : 구간 합 구하기
[백준 2042] 구간 합 구하기 : https://www.acmicpc.net/problem/2042 문제 조건 정리 어떤 N개의 수가 주어져 있다. 그런데 중간에 수의 변경이 빈번히 일어나고 그 중간에 어떤 부분의 합을 구하려 한다. 만약에 1,2,3,4,5 라는 수가 있고, 3번째 수를 6으로 바꾸고 2번째부터 5번째까지 합을 구하라고 한다면 17을 출력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섯 번째 수를 2로 바꾸고 3번째부터 5번째까지 합을 구하라고 한다면 12가 될 것이다.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과 M(1 ≤ M ≤ 10,000), K(1 ≤ K ≤ 10,000) 가 주어진다. M은 수의 변경이 일어나는 횟수이고, K는 구간의 합을 구하는 횟수이다. 둘..
2024.07.03 -
[백준 JAVA] 6549 :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
[백준] 6549 :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 : https://www.acmicpc.net/problem/6549문제 조건 정리 히스토그램은 직사각형 여러 개가 아래쪽으로 정렬되어 있는 도형이다. 각 직사각형은 같은 너비를 가지고 있지만, 높이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은 높이가 2, 1, 4, 5, 1, 3, 3이고 너비가 1인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히스토그램이다.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넓이가 큰 직사각형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입력 직사각형의 수 n이 가장 처음으로 주어진다. (1 ≤ n ≤ 100,000) 그 다음 n개의 정수 h1, ..., hn (0 ≤ hi ≤ 1,000,000,000)가 주어진다. 이 숫자들은 히스토그램에 있는 직사각형의 높이이며, 왼쪽부터 ..
2024.07.02